Git과 형상 관리
형상 관리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코드 및 기타 중요한 자산의 변경 이력을 추적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. 이를 통해 팀원들이 협력하여 작업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, 변경 사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코드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 형상 관리를 통해 파일의 버전 이력, 변경 내역, 그리고 필요한 경우 이전 버전으로의 복구가 가능합니다.
형상 관리는 파일 및 폴더 구조를 기반으로 변경 사항을 추적합니다. 변경된 데이터는 이전 상태로 복원 가능해야 하며, 폴더를 통해 관리됩니다.
Git은 이러한 형상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대표적인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(DVCS)입니다. Git의 주요 특징과 장점을 형상 관리의 관점에서 설명해보겠습니다:
Git의 주요 특징과 장점
- 분산형 구조 :
- 각 개발자가 전체 리포지토리의 복사본을 로컬에 저장할 수 있어, 중앙 서버의 장애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작업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.
- 유연성: 네트워크 연결 없이 로컬에서 모든 작업을 수행하고, 필요할 때 변경 사항을 중앙 저장소와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.
- 강력한 브랜칭과 병합 :
- 브랜치 기능을 통해 독립적인 작업 공간을 제공하므로, 다양한 실험을 하거나 기능을 개발할 때 코드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
- 협업: 여러 개발자들이 동시에 작업할 수 있으며, 각자의 작업을 독립적으로 진행한 후 나중에 병합할 수 있습니다.
- 빠른 성능 :
- 커밋, 브랜칭, 병합 등 많은 Git 명령어가 빠르게 수행되므로,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도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합니다.
- 강력한 히스토리 관리 :
- 모든 변경 이력을 고유한 해시로 추적하여, 언제든지 이전 상태로 복구할 수 있습니다.
git log
명령어를 통해 변경 이력을 확인하고,git reflog
명령어를 통해 이전의 모든 변경 사항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.
형상 관리의 이점
- 변경 이력 추적 : 코드 변경 내역을 체계적으로 기록하여, 언제든지 변경 이유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협업 지원 : 여러 개발자들이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, 충돌을 최소화하고 코드의 일관성을 유지합니다.
- 리스크 관리 : 문제가 발생했을 때 손쉽게 이전 버전으로 복구할 수 있어, 개발 과정에서의 리스크를 줄여줍니다.
Rebase 전략
Rebase 전략은 Git에서 브랜치의 커밋 히스토리를 재구성하는 작업입니다. Rebase는 특정 브랜치의 기반 커밋을 다른 커밋 위로 이동시켜, 브랜치 히스토리를 더 깔끔하고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. 이를 통해 충돌을 최소화하고, 커밋 로그를 더 읽기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.
Rebase는 두 가지 주요 작업을 수행합니다:
- 커밋 재배치 : 현재 브랜치의 기반 커밋을 다른 브랜치의 최신 커밋 위로 이동시킵니다.
- 새 커밋 재작성 : 기존 커밋들을 하나씩 적용하여 새로운 커밋으로 재작성합니다.
Rebase의 단계
- 기반 커밋 선택 : 재배치할 브랜치의 시작 커밋을 선택합니다.
- 새로운 기반 커밋 지정 : 이동할 목표 브랜치의 최신 커밋을 새로운 기반 커밋으로 지정합니다.
- 커밋 적용 : 기존 커밋들을 새로운 기반 커밋 위에 하나씩 적용합니다.
Rebase 전략을 사용하는 이유
- 깔끔한 히스토리 :
- Rebase는 브랜치의 커밋 히스토리를 더 깔끔하고 일관되게 유지합니다. 병합 커밋 없이 연속적인 히스토리를 제공하므로, 커밋 로그가 더 읽기 쉽습니다.
- 충돌 관리 :
- Rebase 중에 충돌이 발생하면, 각 충돌을 개별 커밋 수준에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. 이는 병합 시점의 충돌보다 더 작은 단위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충돌 관리가 용이합니다.
- 효율적인 협업 :
- Rebase를 통해 여러 개발자가 동시에 작업하더라도 병합 시점에서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. 개인 브랜치를 메인 브랜치와 정기적으로 동기화하여, 나중에 병합할 때 충돌을 최소화합니다.
Rebase 전략의 주요 단계 간단 요약
- 마스터 브랜치로 이동:
-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에서 마스터 브랜치로 이동합니다. 이는 최신 마스터 상태를 가져오기 위함입니다.
git checkout master
- 최신 마스터 브랜치 가져오기:
- 원격 저장소의 최신 마스터 브랜치를 로컬로 가져옵니다. 이를 통해 최신 변경 사항을 반영합니다.
git pull origin master
- 내 브랜치로 이동:
- 작업 중인 브랜치로 다시 이동합니다.
git checkout 내브랜치이름
- 마스터 브랜치의 최신 커밋을 내 브랜치에 적용 (Rebase):
- 최신 마스터 브랜치의 변경 사항을 내 브랜치에 적용합니다. 이 과정에서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며, 충돌을 해결해야 합니다. Rebase를 사용하면 커밋 기록이 더 깔끔하게 유지됩니다.
git rebase master
- 원격 저장소에 변경 사항 푸시:
- 변경 사항을 원격 저장소의 내 브랜치에 푸시합니다. rebase 후에는
-force
옵션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 (주의:-force
옵션을 사용할 때는 다른 팀원들과의 협업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.)
git push origin 내브랜치이름
주의 사항
- 충돌 해결 : Rebase 중에 충돌이 발생하면 해당 충돌을 해결하고 rebase를 계속 진행해야 합니다. 이를 위해
git rebase --continue
명령어를 사용합니다.
- -force 옵션 사용 : Rebase 후에 푸시할 때, 기존 커밋이 변경되었기 때문에
git push --force
를 사용해야 할 수 있습니다. 이는 특히 협업 환경에서 주의가 필요합니다.
- 공용 브랜치에서 Rebase 자제 : Rebase는 주로 개인 브랜치에서 사용해야 하며, 공용 브랜치에서 사용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 이는 공용 브랜치의 히스토리를 재작성하면 다른 팀원들의 작업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.
git의 기본 명령어 예시(참고사항)
연결 : git remote add origin 깃주소
연결 확인 : git remote -v
연결 해제 : git remote remove origin
깃 폴더 만들기 : git init
변경사항 추가 : git add .
커밋 : git commit -m "추가할 메세지"
풀 : git pull origin 브랜치이름
원격 저장소 푸시 : git push -u origin 브랜치명
브랜치 이동 방법 : git checkout 브랜치이름
Share article